연구소일기

연구소일기

내 주변의 자살 위험군 체크하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3-09-19 20:31 조회1,981회 댓글0건

본문

안녕하세요:)

파낙토스 통합뇌센터

광주남구서구북구센터 톡톡브레인심리발달연구소입니다.

fbc154b2f2d05f95b007ef3e3ff6757c.jpg

오늘은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자살시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자살시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891340fc77d384f9af80d29d11fc3454.jpg

자살시도에 대한 심각성은 오래전부터 지속되어 왔습니다.

최근 10년간 자살 현황 추이를 살펴보면 2011년에 인구 10만 명당

15,906명이 자살을 하였으며, 자살률은 31.7%으로 나타났으며 2021년 기준으로

13,352명, 자살률은 26%로 발표되었습니다.

이는 1일 평균 자살자 수 36.6명 1시간에 1.5명이 자살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OECD 국가 자살률을 비교하였을 때 OECD 평균 11.1명

대한민국은 23.6명으로 OECD 평균보다 2.1배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대한민국은 23.6명으로 OECD 평균보다 2.1배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8c14db3b41f404e3ac04803e3982f19f.jpg

10대, 20대, 30대의 사망 원인 1위가

고의적 자해(자살)이라는 통계를 보았을 때

자살에 대해 더욱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심각성을 인지해야 한다는 경각심을 가지게 합니다.

심각성을 인지해야 한다는 경각심을 가지게 합니다.


7b38a21d0eba09b8c8e88f7e9376dfcd.jpg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살의 원인에 대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살의 원인에 대해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주관적인 지각을 언급합니다.

동일한 스트레스 상황이라고 할지라도 개개인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정도는 다르다는 것입니다.

스트레스의 정도는 다르다는 것입니다.

d7e19240f151c5038e2e39f2be10cedf.jpg

이론적 모형에서는 자살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요?

Williams의 고통호소모델에서는 스트레스 상황을 복합적, 지속적으로 경험하게 되고

그로 인한 패배감, 속박감으로 인해 그 상황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무력감에 빠져 자살에 대한 사고로 이어진다고 보았고

Joiner & Van Orden의 대인관계심리모형에서는 좌절된 소속감과

짐이 되는 느낌으로 인한 자살 욕구가 생기며

이에 고통에 대한 감내력 즉 자살할 수 있는 능력의 결합이

자살시도로 이어진다고 보았습니다.

ec7a58a3cd6cafc018e3398f94b3a45e.jpg

이러한 이론들이 동시적으로 언급하는 개념이 있는데,

바로 사회적 지지 자원 및 대인관계입니다.

자살자의 주변 사람들을 대상으로 심리부검을 시행해 보면

자살 시도자들의 94%는 경고신호를 보냈으며

신호를 알아차림의 비율은 23%로 나타납니다.신호를 알아차림의 비율은 23%로 나타납니다.

5275813fd3a3eb96170501c3525e0691.jpg

대부분의 유가족들과 지인들은 자살 시도자들의 경고신호를

자살 이후에야 인식하게 되고 후회하며 죄책감에 빠지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c19ba9830e958401c8e23e8073e0c65f.jpg

혹시 나의 주변 사람들이 경고신호를 보내고 있지는 않을까

살펴보고 사전에 개입할 수 있도록 '보기 듣기 말하기' 캠페인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보기

'자살을 암시하는 언어적, 행동적, 상황적 신호를 살펴보자'

1. 언어적 신호

자살 등, 죽음에 대한 말을 자주 함

신체적 불편을 호소

자기 비하적인 말

편지, 노트, SNS 등에 죽음 관련 내용을 적음

*우리나라 사람들의 대부분은 힘들고 지칠 때 '죽을 것 같다, 몸이 아프다' 등

죽음과 아픔의 호소로 힘듦을 표현하기에, 경고신호에 대해

무심하거나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2. 행동적 신호

1) 평소와 다른 행동

공격적-충동적 행동

감정의 변화

자해행동

술, 약물 남용

2) 우울 관련 변화

식사-수면상태 변화

무기력, 대인기피, 흥미 상실

집중력 저하 및 사소한 결정의 어려움

외모관리에 무관심

3) 삶을 정리하는 행동

주변을 정리함

인간관계 개선 노력이나 신변 정리

소중한 물건을 다른 사람에게 줌

4) 자살을 준비하는 행동

자살 방법을 찾고 계획을 세움

죽음 관련 음악, 시, 영화에 몰두

3. 상황적 신호

직업, 경제적, 정신건강, 가족관계

*생애 스트레스 사건 평균 4개

듣기

'자살 생각을 묻고 죽음의 이유를 적극적으로 듣자'

자살에 대해 직접적으로 묻는 것은

실제로 자살 위험성을 높이지 않으며

상대에게 안정감을 줄 수 있으며

대화의 대용이 명확해질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지 않는 듣기

1. 문제의 축소 및 회피

2. 비난과 화냄

3. 충고

4. 섣부른 해결책의 제시

5. 비밀보장 약속

적극적으로 듣는 방법

1. 들을 수 있는 상황을 만들기

2. 판단하지 않는 태도를 통해 옮고 그름을 판단하지 않기

3. 공감적 듣기

적극적으로 들어보게 되면 죽고자 하는 마음속에

살고 싶은 마음을 찾을 수 있게 되어

자살에 대한 양가감정을 탐색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가게 하는 힘은 무엇인지

탐색함으로써 잊고 있던 살아가는 이유를 찾게 합니다.

말하기

자살 징후자의 자살 위기 위험성을 점검하고

안전을 확보하고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가족-지인과 소방서, 자살예방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 의료기관 등에

도움을 요청하고 인계한다.

안전점검목록

1. 이전 자살시도 유무

2. 정신과 질환의 유무

3. 알코올 남용

4. 자살 방법의 준비 여부와 치명성

5. 자살 계획의 구체성

6. 인적 네트워크 및 지지 자원

벼랑 끝에 놓인 것처럼

위태로워 견디기 힘들어하는 나의 사랑하는 사람들을 위해

한 번 더 주위를 둘러보는 우리가 되기를 소망합니다.


<톡톡 브레인 심리발달연구소>에서는

뉴로피드백 훈련과 함께 심리 상담을 통해

문제를 개선하고 있습니다.

문제행동의 원인과 해결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든 상담과 검사들은 사전예약제로 진행됩니다.

문의전화)

서구점: 062-375-6242

전남대점: 062-265-624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