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소일기

연구소일기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학습의 어려움

페이지 정보

작성자 톡톡브레인심리발달연구소
작성일25-06-24 13:47 조회2회 댓글0건

본문





 “우리 아이는 말도 잘하고 친구도 많아요. 그런데 공부만 시작하면 힘들어해요.”



241421b84db2f526189058d29bef7034_1750740382_823.jpg
 

일상생활도 잘하고 또래들과도 잘 어울리는 우리 아이 선생님도 “사회성 좋고 밝아요”라고 칭찬합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책상 앞에만 앉으면 멍하고 집중이 되지 않고 과제를 끝까지 마무리하지 못하거나 읽고 이해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는 모습을 보이곤 합니다.

이런 아이들은 부모님 입장에서 더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해력도 괜찮아 보이는데 왜 문제를 풀지 못할까?’ ‘사회성도 좋은데 왜 학습은 더딜까?’

사실 이 아이들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학습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상생활은 잘하는데 공부를 하는데 힘들어 하는 아이들의 특징을 살펴보면

1. 듣는 것보다 이해가 느림

• 수업 시간에 설명을 듣고 바로 문제로 적용하기 어려움

• 언어는 잘 하지만 내용의 핵심을 파악하고 정리하는 속도가 느림

2. 책은 잘 읽지만 ‘내용이 남지 않음’

• 독서는 좋아하지만 읽은 내용을 질문하면 설명이 어려움

• 줄거리는 기억해도 원인-결과나 핵심 개념은 파악이 잘 안 됨

3. 수학 개념이나 문제 해결 전략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

• 사칙연산은 가능하지만 문제풀이 과정을 스스로 정리하지 못함

• 계산은 빠르지만 실수가 많고 전반적인 개념 구조는 취약함

4. 공부를 오래 해도 효율이 낮음

• 책상 앞에 오래 앉아 있지만 집중의 질이 낮아 학습 성취가 낮음

• 반복해서 공부해도 다음 날이면 처음 보는 문제처럼 느껴짐


241421b84db2f526189058d29bef7034_1750740404_7463.jpg
 

왜 이런 일이 생길까요?

이런 아이들은 일반적인 인지발달은 정상이지만 학습에 필요한 기능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문장을 머릿속에 저장하고 조합해서 의미를 유추해야 하는 읽기 이해, 문제를 듣고 나서 다음 단계를 머릿속에서 계획하고 정리해야 하는 수학 문제 해결은 단순 지능이 아니라 복합적인 처리 체계가 필요합니다

먼저 인지기능 및 학습에 대해 알아봅니다.

단순히 아이가 공부를 잘하느냐 못하느냐가 아닌 아이의 ‘인지적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학습전략을 찾아봅니다.

또 학습 실패의 반복은 아이에게 “나는 원래 못 해”, “이건 내 머리로는 안 되는 거야”라는 무기력감과 자기비난을 쌓이게 만듭니다. 상담을 통해 이러한 인식과 감정을 함께 다루며 아이가 자신을 이해하고 학습이 가능한 나로 다시 연결될 수 있도록 자존감, 자기효능감, 동기 회복의 과정을 함께 만들어갑니다.

이런 아이들을 보면 부모님들은 아이의 ‘성격’이나 ‘게으름’ 때문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상담을 통해 들여다보면 “아, 이 아이는 단지 공부할 때 쓰는 학습 회로가 아직 단련되지 않았구나”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건 상담과 뉴로피드백을 통해 충분히 바꿀 수 있습니다. 아이의 강점은 유지하면서 학습 회로를 따로 만들어주는 것. 그것이 상담과 뉴로피드백이 함께 하는 일입니다.


241421b84db2f526189058d29bef7034_1750740423_9262.jpg
 

우리 톡톡브레인심리발달연구소 전남대점에서는 이러한 아이들을 위해 인지학습반, 뉴로피드백과 심리상담을 하고 있습니다.

끝으로 공부는 아이만의 속도와 방식이 있습니다. 그걸 억지로 맞추려 하지 않고 조금 멀리 돌아가더라도 제대로 된 방향으로 도와주면 아이들은 스스로 길을 찾아갑니다.

아이의 말 속, 눈빛 속에 담긴 “도움이 필요한 신호”를 우리가 함께 읽어주는 것이 바로 변화의 시작이 됩니다.



<톡톡 브레인심리발달연구소>에서는

뉴로피드백 훈련과 함께 심리 상담을 통해 문제를 개선하고 있습니다.

문제행동의 원인과 해결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든 상담과 검사들은 사전예약제로 진행됩니다.

☎문의전화☎

북구센터: 062-265-6242

서구센터: 062-375-624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