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ㅁ'/
톡톡브레인연구소 서구점입니다.
오늘은 스트레스로 인해 나타나는 신체화증상 중에 하나인 '긴장성 두통'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자 합니다.
긴장성 두통 이란?
심한 스트레스나 긴장된 자세 때문에 주로 뒷목이나 뒷머리 또는 머리 전체에 생기는 두통.
근수축성두통·신경성두통·스트레스성두통·심인성두통·본태성두통 또는 일반적인 두통이라고도 한다. 대부분 신경을 많이 쓰거나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 경우에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여자에게 더 잘 생기며, 20~40대에 생기는 경우가 많다. 증상은 지속적인 통증이 띠 모양으로 옆머리·앞머리·머리꼭대기·뒷머리·목·어깨근육 부위에 느껴진다.
원인은 대부분 운동부족이나 근육의 부적절한 사용, 불량한 자세 등으로 인하여 머리 주위 근육이 지나치게 긴장하기 때문인데, 특히 목과 어깨 부위에 통증이 있을 때는 목디스크나 허리디스크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실제로 디스크가 빠져 신경을 압박하는 경우는 드물고 80% 이상은 주위의 근육이나 근육 부착건, 인대등에서 생기는 통증이다.
증상은 주로 관자놀이와 뒷목, 머리 뒤쪽, 어깨 등이 뻐근하고 조이거나 심한 경우 쑤시는 듯한 통증이 느껴진다. 환자에 따라서는 식욕부진, 조바심, 밝은 불빛에 대한 예민한 반응, 어지러움증 등을 호소하기도 한다.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기간 중에는 두통의 정도가 심해지며 아침에는 편안하다가도 오후가 되면 심해져 저녁에는 구토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치료는 일단 안정을 취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안정을 취하는 것만으로 해결되지 않을 경우에는 근육이완제나 진통제, 일부 정신과 약물로 치료할 수 있다. 약물 치료와 함께 초조해 하지 말고 스트레스가 쌓이지 않도록 느긋한 자세를 가지는 것도 중요하다. 최근에는 머리의 혈관을 지배하는 자율신경계의 신경 일부를 치료하는 신경치료나 긴장성 두통을 일으키는 근육을 찾아서 치료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치료법이 시행되고 있다.
출저:[네이버 지식백과] 긴장성두통 [tension headache, 緊張性頭痛] (두산백과)
센터에 있으면서 학부모님들과 내담자들에게 자주 듣는 질문 중 하나가 "선생님은 스트레스관리를 어떻게 하시나요?"였는데요. 이에 대한 답은 "저희도 뉴로피드백 훈련으로 관리하고 있어요~"라고 말씀을 드립니다.
저희 상담사 선생님들과 실장님들께서도 건강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기 위해 뉴로피드백 훈련을 하고 있습니다.
보통 스트레스라 함은 외부에서 내가 받는 자극들이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고계시는데 실제로 스트레스는 외부에서 오는 자극들을 내가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스트레스가 생성됩니다.
여러분은 사고와 감정의 분화라는 것을 알고 있으신가요?
쉽게 말하면 '공과 사를 분리하라' 라고 할 수 있는데요. 말 그대로 감정을 쓰지 않아야할 일에 필요 이상의 정서 또는 기분을 넣었고 이 때문에 사고와 감정의 불균형으로 인해 스트레스로 발전하는 것입니다.
뇌기능분석결과중 '항스트레스 지수'
위의 스트레스의 그래프를 보시면 이 내담자의 경우 육체적 스트레스 BS(Body Stress)와 정신적 스트레스(Mind Stress) 가 정상적 범주 이상을 넘어가게 된 경우로 신체적인 긴장도와 정신적 피로도가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잠재적인 긴장도와 심리적 위축상태에서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나타나면 정서와 사고를 분리하지 못하고 대인 간 또는 일상생활에서의 불균형의 요인으로 작용되기도 합니다.
뉴로피드백을 통해 항스트레스의 기능을 높이고 신체적, 정신적 긴장도를 낮추다보면 외부환경에서 오는 자극들에 대처 할 수 있는 융통성이 생기게 됩니다. 또한 적절한 여유까지 생기기면서 한번쯤 스트레스의 원인에 대해 파악해보는 텀도 생길 수 있지요:)
여러분들의 스트레스! 몸과 마음의 균형을 이루셔서 보다 즐겁고 행복한 하루 보내시길 바랍니다^^